이재명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제안한 배우자 상속세 폐지 동의 하겠다...
정덕영 | 입력 : 2025-03-07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제안한 ‘배우자 상속세 폐지’에 대해 “동의할 테니 이번에 (상속세법을) 처리하면 좋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이 당론으로 추진하기로 한 배우자 상속세 폐지를 수용한 것. 다만 상속세 최고세율 인하에 대해선 반대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이 대표는 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배우자에 대한 상속세 면제는 (자산의) 수평 이동이고, 이혼할 때 재산 분할을 하는 것까지 고려하면 나름 타당성이 있다”며 “상속세 일괄공제 금액을 상향하는 데는 (국민의힘이) 동의하는 것 같으니 배우자 상속세 폐지에 동의하겠다”고 밝혔다. 당초 민주당은 배우자 공제 최저한도는 5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올리는 내용으로 상속세법 개정을 주장했지만 배우자 상속세를 전면 폐지하자는 국민의힘 방안을 받아들이겠다는 얘기다.
하지만 현재 50%인 상속세 최고세율을 40%로 인하하자는 여당 주장에 대해서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 대표는 “초고액 상속자들에 대한 세금을 깎아주자는 데 국민들이 동의하겠나”라며 “이상한 초부자 상속세 감세 같은 조건을 붙이지 말고 처리하자”고 말했다.
이에 대해 권 위원장은 배우자 상속세 폐지를 환영한다면서도 “더 중요한 것은 국민 경제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가업 승계를 완화하는 것”이라고 했다. 상속세 최고세율을 낮추고, 중소·중견기업 최대 주주의 자녀가 기업을 이어받으면 상속세를 줄여주는 가업상속공제의 조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여당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조세소위를 열어 상속세율 등을 논의하자는 입장이다.
한편 최상목 대통령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여야가 전날 연금개혁 협상에서 연금 고갈을 막기 위한 ‘자동조정장치’에 대한 논의를 미루기로 합의한 데 대해 반대 입장을 내놨다. 기재부에 따르면 최 권한대행은 이날 “자동 조정 장치는 국민연금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핵심 요소”라며 “여당에 다시 한번 설명하라”고 보건복지부에 지시했다.
[뉴스줌=정덕영기자] news@newszoom.kr
<저작권자 ⓒ 뉴스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