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총인구 3년만에반등·초고령화 사회' 초읽기

이영민 | 기사입력 2024/07/29

韓,총인구 3년만에반등·초고령화 사회' 초읽기

이영민 | 입력 : 2024-07-29

 


[뉴스줌=이영민기자] 2년 연속 감소하던 국내 총인구가 지난해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내국인 수는 감소하고 외국인이 증가세를 이끌었다. 고령화 흐름은 막지 못해 한국의 '초고령 사회' 진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작년 11월 1일 기준 국내 총인구는 5177만50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8만2000명(0.2%) 증가했다. 2020년 국내 총인구(5182만9000명)가 전년 대비 5만명 늘어난 뒤 3년 만의 반등이다.

 

 

국내 총인구는 저출산 영향으로 2021년부터 2년 연속 감소했다. 지난해는 예외였다. 외국인 덕이 컸다. 2020~2021년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국가 간 이동이 줄며 외국인 수가 감소했지만 2022년부터 증가세로 전환했다.

지난해 내국인(4983만9000명)은 10만1000명(-0.2%) 감소했지만, 외국인(193만5000명)이 18만3000명(10.4%) 늘었다. 통계청이 정의하는 외국인은 국내에 3개월 이상 체류했거나 3개월 이상 체류할 목적으로 입국한 외국인 국적을 가진 자다. 단기 여행객은 외국인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지난해 외국인 증가 규모는 통계청이 인구주택총조사를 매년 실시하기 시작한 2015년 이래 최대다. 반면 내국인은 작년까지 3년 연속 감소했다.

일자리를 찾기 위해 국내로 들어온 외국인이 늘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생산연령인구에 속하는 30대 외국인이 28%(54만1000명)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외국인 고용허가제 규모가 대폭 늘어난 영향으로 외국인이 많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전체 외국인의 58.9%(114만1000명)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군구별로 보면 경기 안산시가 9만2000명(4.8%)으로 외국인 거주인구가 가장 많았다. 경기 화성시(6만6000명·3.4%), 시흥시(6만2000명·3.2%) 등이 뒤를 이었다. 산업단지 등 외국인 일자리가 많은 지역의 거주 비중이 높았다.

국적별로 보면 중국과 베트남, 태국 국적 외국인이 전체 외국인 인구의 61.6%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외국인이 많이 증가한 국적은 베트남과 태국, 중국이었다.

이런 가운데 우리나라 전체 인구구조의 고령화는 가팔라지고 있다. 지난해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70.6%(3654만6000명),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8.6%(960만9000명), 0~14세 유소년인구는 10.9%(561만9000명)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0~14세 인구는 24만1000명(-4.1%), 15~64세 인구는 14만명(-0.4%) 감소했지만 고령인구만 46만2000명(5.1%) 늘었다. 국내 경제를 떠받치는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2018년 이후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초고령 사회 진입도 눈앞에 두게 됐다. 초고령 사회란 65세 이상 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상인 사회를 말한다. 외국인을 포함한 국내 총인구 기준으로는 65세 이상 인구가 18.6%지만, 내국인 고령인구 비중은 19.1%로 나타났다. 한국은 2000년에 노인인구가 총인구의 7%를 넘어서며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고, 2017년에 그 비중이 14%를 초과해 '고령 사회'에 들어섰다.

고령화 영향으로 지난해 중위연령(45.7세)은 전년 대비 0.6세 높아졌다. 중위연령은 전체 인구를 연령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있는 사람의 나이를 뜻한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유소년 인구는 15.4명으로 전년 대비 0.6명 감소했지만 노년부양비는 26.3명으로 1.4명 증가했다. 노령화지수(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는 171.0으로 2018년(113.9) 대비 57.1 올랐다.

 

  • 도배방지 이미지

뉴스줌 sns 블로그 유튜브 인스타 틱톡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